□ 일시 : 2018년 10월 2(화) 오전 9시 30분
□ 장소 : 국회 본청 원내대표회의실
■ 한정애 정책위수석부의장
10월 2일 오늘은 노인의 날이다. 유엔이 정한 노인의 날은 10월 1일인데 우리는 10월 1일이 국군의 날이어서 매년 10월 2일을 노인의 날로 법정 지정해서 행사를 치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인구의 14%를 넘어서고 있는 고령사회에 진입해 있다. 65세 이상 되는 어르신들, 우리나라가 여기까지 오기까지 수많은 희생과 고생을 하신 분들이다. 그런 분들의 노후가 불행하지 않도록, 노후가 어렵지 않도록 국가가 더욱 책임지고 부양할 수 있도록 하겠다. 그래서 저희가 9월부터는 기초연금을 25만원으로 인상했다. 2019년부터는 하위소득 분위 2분위부터 30만원으로 인상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국가가 책임지고 부양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잘 챙기고, 모실 수 있도록 하겠다.
어제 박주민 의원께서 대정부질의에서 이야기 하셨다.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통일 대박’이라고 하는 단어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통일 쪽박’이 되어버렸고, 이제는 ‘대북 퍼주기’가 되어 버렸는지 궁금하다. 예전에 TV프로그램 중에서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 프로그램을 보면 아이가 변화하는 것이 보인다. 김성태 원내대표가 ‘우리 준표가 달라졌어요’를 하시겠다고 했는데 실패했다. 언론이 논조가 달라지는 것은 무엇인가 이유가 명확하게 있어야 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만약 정치권이 아무런 이유 없이 정치적 행위를 달리했으면 아마 엄청 뚜드려 맞았을 것이다. ‘갈팡질팡’, ‘횡설수설’, ‘오락가락’, ‘좌충우돌’이라는 표현을 썼을 것이다. ‘통일 대박’은 여전히 ‘통일 대박’일 수 있고, 통일로 가는 길은 한반도의 평화가 시급한 해결 현안이기도 하다. 한반도 평화의 길에 모두가 함께 해야 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국감상황실] 국정감사 대책회의 모두발언(10.18) (0) | 2018.10.21 |
---|---|
[국감상황실] 국정감사 대책회의 모두발언(10.16) (0) | 2018.10.21 |
[정책위 수석부의장] 제106차 정책조정회의 모두발언 (0) | 2018.09.27 |
[한정애 국회의원] 꽃게 말고 '꽃개' 프로젝트에 함께했어요! (0) | 2018.09.27 |
[정책위 수석부의장] 제105차 정책조정회의 모두발언 (0) | 2018.09.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