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의 민간조정관 제도가 공무원들의 퇴직 후 자리보전용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한정애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2017년 민간조정관 채용 현황'에 따르면 2014년 일부 관서에서 운영되던 권리구제지원팀 민관조정관(17개 관서 49명 채용)이 40개 전 관서로 확대돼 올해 8월 기준 현재 112명을 채용 중이다.
고용노동부는 금품체불 청산 등의 노동분쟁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노동분쟁사건에 대해 상담 및 조정해주는 권리구제지원팀을 운영해오고 있다.
민간조정관의 연령대를 살펴본 결과 전체 인원 중 60대가 65.2%(73명), 50대 26.8%(30명), 70대 4.5%(5명), 40대 3.6%(4명) 순으로 퇴직자들이 주로 찾는 자리로 굳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고용법상 고령자로 분류되는 55세 이상의 민간조정관은 106명으로 전체의 94.6%를 차지했으며, 최고령자는 76세로 포항지청에 35년 근무한 고용노동부 퇴직 공무원이었다.
또한 민간조정관 출신 내역을 분석해본 결과 전체 인원 112명 중 공무원 출신의 비율은 42%(47명)를 차지해 민간조정관 자리가 공무원들의 퇴직 후 자리보전을 위한 직책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 의원은 전했다.
이 중 61.7%(29명)은 고용노동부 출신이었으며, 경찰공무원 출신 10.6%(5명), 타 기관 및 지자체 공무원은 27.7%(13명)이었다.
한 의원은 "금품체불은 본래 근로감독관이 해야 하는 고유 업무지만 인원 부족 등으로 인해 민간조정관이 조정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민간조정관이 고용노동부 출신을 포함해 공무원들의 퇴직 후 자리보전용으로 전락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며 "고용노동부가 공무원 출신 뿐 아니라 다양한 경력·연령·성별 등을 고려해 민간조정관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pej86@
▽ 기사 원문보기
[뉴스1]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42% 공무원 출신…"자리보전용"
▽ 관련 기사보기
[국제뉴스]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42% 공무원 출신…노동부 출신61.7%
[신아일보]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중 42%는 공무원 출신"
[파이낸셜뉴스]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공무원 퇴직보전용?
[메디컬투데이] 고용부 민간조정관, 자리보전용?…42%는 공무원 출신
[일간대한뉴스] 한정애 의원,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중 42%는 공무원 출신
[파이낸셜뉴스] "고용부 민간조정관제 퇴직 공무원 자리보전용 전락"... 10명 중 5명 퇴직 공무원
[웹데일리]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퇴직공무원 자리보전용 전락...공무원 출신-고령자 비중 높아”
[웹데일리]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중 42% 공무원 출신...퇴직 공무원 자리보전용 전락"
[시사경제신문] 한정애 의원,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제도 질타
[아시아타임즈] 고용노동부 민간조정관 퇴직 공무원 자리 보존용
[매일노동뉴스] [문재인 정부 첫 국정감사] “노동적폐 청산” vs “변죽만 울릴 것” (0) | 2017.10.11 |
---|---|
[오마이뉴스] 미묘+댕댕이들 '대모' 한정애, 국회 '레알 캣댕맘'의 발견 (0) | 2017.10.07 |
[한국일보] 정규직전환심의위원회 꾸린 공공기관 절반도 안 돼 (0) | 2017.10.07 |
[일간대한뉴스] 한정애 의원, 강서구 내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위한 옐로카펫 설치 추진 (0) | 2017.09.30 |
[SBS] [김성준의시사전망대] "한국은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휴일 관련법 없어" (0) | 2017.09.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