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삼성전자가 업종 평균보다 50% 정도 감액된 산재 요율을 적용받아 300억원의 이득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민주통합당 한정애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사업장 산재 요율’을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가 전자제품 제조업 일반 산재 요율인 7%보다 48% 감액된 3.64%를 적용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삼성전자의 업무상 질병 산재 불승인율 역시 일반 사업장과 비교하면 턱없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한 의원은 “삼성 반도체에 근무했던 많은 노동자가 혈액암 등으로 목숨을 잃거나 고통받는 상황에서 오히려 삼성전자는 산재 요율을 감액받아 산재보험금을 턱없이 적게 내는 것에 대해 국민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며 “삼성전자가 사업주로서 산재신청노동자를 도와주어야 함에도 오히려 산재 요율을 낮추기 위해 산재를 은폐하거나 산재승인율을 낮추려고 애쓰는 것은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자세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기술자격검정원 신설은 위장된 사내하도급"[매일노동뉴스] (0) | 2012.10.19 |
---|---|
"박근혜 조카 소유 케이블카 사업권 회수해야"[연합뉴스] (0) | 2012.10.19 |
“국립현대미술관 화재 시공사가 책임”…고용부, GS건설 사장 소환조사 [국민일보] (0) | 2012.10.14 |
현대차, ‘불법파견 배째라’,,,올해 이행강제금 13억 6천만원 내 [참세상] (0) | 2012.10.14 |
한 발짝씩,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위해 뛰겠다! [참여와 혁신 인터뷰] (0) | 2012.10.14 |
댓글 영역